티스토리 뷰

Cirrhosis라고 하는 간경병은 만성적인 질병에 속한다. 조직 세포에 문제가 생겨 간 질병으로 이어지는데 간이 딱딱하게 굳거나 오므라드는 것이 첫번째 변화이다. 간경화나 간섬유증으로 부르기도 하고 조직이 재생하면서 혹이 생기는 무서운 질병이다.


간의 기능이 쇠약해지면서 빈혈도 동반하는데 B형 간염, C형 간염, 알코올 의존증이 발병하며 지방간 질환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외에 원인은 다양하지만 정확한 원인을 알수없는 것이 간경변의 특징이다. 복수는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다른 위험도 증가시킨다. 특히 출혈이나 식도정맥류, 간성뇌증도 연관성이 있다.


간경변증 치료는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라 한다. 간경변이 진행되면 간이식을 통한 치료가 유일하다. 간 세포가 파괴되면 섬유조직이 증식하며 재생성 결절이 진행된다. 간내혈관은 간기능의 변형을 가져오며 다양한 질병을 초래한다.


간경변은 술, 비만, 당뇨병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지만 바이러스에 의해 간염이 악화되기도 한다. 간섬유는 부전으로 진행되기 전까지 자각증상이 없어 판단하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 병원에서도 간경변을 진단할때 쉽게 진단을 내릴 수 없다. 보통 식욕이 없고 헛배가 부른것이 특징인데 구역감이나 설사, 변비를 동반하기도 한다.


하지만 변비는 만성간염의 경우에도 동일하여 간경변으로 판단하기가 어렵고, 오줌이나 황달증상을 통해 원인을 추적하기도 한다. 복수는 개구리 배처럼 부풀어 오르는 증상을 말한다. CT로 간경변을 촬영하면 개구리 의 배속을 보는것과 같은 느낌이다.


황달은 적혈구가 파괴되어 생기는 현상으로 빌리루빈이 역류하여 피부에 보이게 된다. 복수는 혈중 수분이 체외로 빠져나가는 것을 말하는데 이로 인해 부종이 생기고 알부민이 합성되지 않는 형태가 된다. 망상모반은 피부에 돌출하는데 얼굴이나 목, 가슴에 동맥 혈관 방사형으로 나타난다.


때로는 거미상 혈관이 나타나기도 하며 여성화의 경우 여성호르몬이 파괴되어 유방 증대, 고환 위축등의 현상을 나타낸다. 또 다른 현상으로 출혈이나 혼수, 저혈당, 비장 비대, 신장염을 동반한다. 간경변을 진단하려면 B형 간염 바이러스 항원이 필요하며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검사를 해야한다.


프로트롬빈 시간 측정을 하고 식도위내시경 검사를 하게 되는데 소변검사나 복부 초음파는 필수로 이루어진다. 조금더 세밀하게 진단하기 위해선 CT, MRI도 사용하게 된다. 간경변의 의심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거미상혈관종, 장홍반, 측부순환정맥이 있다.


C형 간염, B형 간염 항바이러스 치료는 간섬유화가 더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비가역적 수준으로 진행된것은 치료하기가 힘들어 단순히 완화시키는 정도에 그친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